[뉴스프리즘] 코로나19 확산…전국이 떨고있다.<br /><br />국내 코로나19 첫 번째 확진자가 나온지 이제 한 달입니다.<br /><br />다소 주춤해지는듯 했지만 지난주 갑작스런 확장세에 모두 놀라셨을 것 같습니다.<br /><br />코로나19로 인해 모두의 일상에 큰 변화가 생겼는데요.<br /><br />오늘 뉴스프리즘에서는 코로나19가 일으킨 파장을 짚어보고 우리의 대응방법을 고민해봅니다.<br /><br />▶ 실내·온라인으로 온 일상…코로나19에 갇혔다<br /><br /> "10개에 1개 더 드립니다. 10개 사시면 1개 더 드려요."<br /><br />항상 사람들로 긴 줄이 들어섰던 맛집은 늘어나는 빈자리에 직접 손님 모으기에 나섰습니다.<br /><br /> "원래 여기 꽉꽉 차죠. 안이고 밖이고…손님이 너무 없으니까 저희만 힘든게 아니라 남대문 시장 전체가 정말 힘들어요."<br /><br />내외국인 모두에게 인기였던 유명 브랜드 매장은 점포를 아예 내놓았습니다.<br /><br /> "정리하고 다른쪽으로 오픈할 걸 계획하고 있어요. 심각해서…온라인 사업이나 다른쪽으로…"<br /><br />코로나19 장기화로 등장한 유명 식당과 매장의 텅텅 빈 식탁과 빈 계산대 모습입니다.<br /><br />외식 대신 집밥, 오프라인보다 온라인 쇼핑 등 야외에서 실내로 사람들의 생활권이 옮겨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접촉을 최소화하기 위해 주말 종교활동은 집에서 유튜브로 대체됐고, 학교 졸업식도 강당 대신 유튜브 중계를 통해 교실에서 소규모로 진행됐습니다.<br /><br />특히 인파가 몰리는 인기 아파트 단지 분양을 앞두고는 VR 모델하우스까지 등장했습니다.<br /><br />직접 오지 않아도 온라인에서 모델하우스를 생생하게 볼 수 있도록 한 겁니다.<br /><br /> "관람은 전혀 안되세요. 아예 지금 문을 다 폐관해놓은 상태여가지고… 추후에 당첨자분에 한해서만 관람하시고 서류접수 하러 오실 수 있으세요."<br /><br />위험 감수가 일정부분 불가피한 장소에서도 새로운 풍경은 마찬가지입니다.<br /><br />외부활동을 자제하는 분위기 속에도 사무실 밀집 지역은 여전히 사람들이 모일 수밖에 없는데요.<br /><br />그러다보니 이렇게 열감지기 같은 특수장비가 비치된 상황은 이제 평범한 모습이 됐습니다.<br /><br />식당이나 마트 등에 마련된 손 소독제를 수시로 쓰는 건 기본, 혹시나 하는 마음에 엘리베이터 버튼을 닦는 사람까지 등장한 상황.<br /><br />코로나19가 우리 일상의 모습을 구석구석 바꾸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경목입니다. (mok@yna.co.kr)<br /><br />▶ "매출 반토막 나"…코로나19 경제 타격 확대<br /><br />점심시간의 명동 거리입니다.<br /><br />평소 같으면 내·외국인 할 것 없이 인파로 붐볐겠지만 지금은 비교적 많이 한산해졌습니다.<br /><br />코로나19 감염 우려로 사람들이 외출을 줄인 건데 서울의 다른 관광지도 마찬가지라 소상공인들은 애가 탑니다.<br /><br />평소 내국인은 물론 중국·일본 관광객들도 많이 찾는 음식점을 운영하는 A씨는 이번 달 들어 매출이 반토막 났다고 말합니다.<br /><br /> "약속 자체를 안 잡으시는 건지 확실히 많이 줄긴 했어요. 보통 저희 가게에 주말에 웨이팅하고 많이 바쁜 가게인데 한산하게…"<br /><br />기업들 역시 코로나19로 타격을 받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소비의 축이 온라인으로 옮겨가는 동시에 소비자들이 사람이 많이 몰리는 곳을 꺼리게 되자 일부 오프라인 유통업체는 구조조정을 결정했습니다.<br /><br />롯데쇼핑은 창사 41년 만에 처음으로 점포 축소를 결정했는데 앞으로 3~5년 내 백화점과 마트, 대형슈퍼마켓 등 700개 점포 가운데 30%인 200여개 점포를 닫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지난해 영업이익이 재작년보다 무려 67%나 급감한 이마트는 이미 적자 점포 정리를 진행 중입니다.<br /><br />이에 정부는 지역경제 위축 우려에 대해서는 지방재정의 60%인 137조 원을 상반기까지 조기 집행하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또 코로나19로 피해를 본 중소기업에 250억 원, 소상공인에 200억 원 등 모두 450억 원의 경영안정자금을 저금리로 제공하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이와 별개로 이번 달 말 코로나19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을 발표할 예정입니다.<br /><br /> "투자·소비 활성화 등 전방위적인 제1차 경기 대책 패키지를 마련해 발표할 계획입니다."<br /><br />정부는 또 "경기 대책이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국민과 기업의 경제활동이 뒷받침돼야 한다"며 적극적인 소비와 투자활동을 당부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이동훈입니다.<br /><br />▶ 코로나3법·특위 합의했지만…처리속도 아쉬움도<br /><br />지난 목요일(20일), 국회 보건복지위원회는 코로나19에 대응하기 위한 이른바 '코로나 3법'을 의결했습니다.<br /><br />코로나19 사태 이후 사실상 처음으로 국회 차원의 입법 대안을 마련하기로 한겁니다.<br /><br />코로나 3법은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, 검역법, 의료법 등 3개 법의 일부개정안을 말합니다.<br /><br />이달 말 3법이 본회의 문턱을 넘으면 감염병 '주의' 이상 경보 발령시 어린이와 노인 등에 마스크 등을 지급할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또 복지부 장관의 요청으로 감염병이 유행하고 있거나 유행할 우려가 있는 지역에서 온 외국인의 입국을 금지할 수 있게 되고, 의료기관 내 환자와 보호자, 의료기관 종사자 등을 위한 감염 감시체계도 새로 마련하게 됩니다.<br /><br />이밖에 여야 교섭단체는 코로나19 대책 특별위원회도 설치해 국회 차원의 총력 대응에 나선다는 계획입니다.<br /><br />여야가 이렇게 '투트랙'으로 대응하고 있지만, 국회가 코로나19 악화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단 분석도 나옵니다.<br /><br />국내 사망자까지 나오고 있는 이 순간에도 대책들은 '약속'이나 '합의'에 그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민주당 정책위 수석부의장인 윤관석 의원은 야당이 국민 안전과 관련된 사안을 정치적 사안과 연계시킨데 원인이 있다고 말합니다.<br /><br /> "선거구 획정이라든지 다른 부분과 정치적으로 엮이면서 많이 지연됐던 것에 대해서 안타까움과 아쉬움과 문제의식을 갖고 있습니다. (국회특위의) 논의가 야당 측의 여러 이유로 지연되면서 출범을 눈앞에 두고 있지만 늦어진 감이 있습니다."<br /><br />미래통합당 지상욱 의원은 국회 차원 대응에 속도를 높여야 한다는 점엔 공감하면서도 국정운영에 무한책임을 져야 하는 집권여당이 보다 대승적인 자세를 취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.<br /><br />